728x90
본 포스팅에서는 영구적으로 CMD의 UTF-8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함.
※ [경고] : CMD의 인코딩 타입을 변경하는 것은 이후 설치되는 다른 프로그램의 인코딩 타입을 일일히 UTF-8로 바꿔주지 않으면 충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함
* [EX] Tomcat 등 외부 프로그램 실행 시 CMD, 로그 등의 한글이 깨져서 보인다면 CMD의 설정을 바꿀 것이 아닌,
Tomcat의 인코딩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음 (하단 링크 참고)
따라서 본 포스팅의 작업은 숙고해서 진행할 것
만약 톰캣 실행 시 로그, CMD 등에서 한글 깨짐 시에는 아래 방법을 참고할 것
[트러블슈팅] (Microsoft) Tomcat 콘솔/로그 한글 깨짐 시 해결 방법
문제 원인Microsoft 환경에서 TOMCAT을 실행할 시 CMD, 로그 등에서 한글이 깨지는 원인은 인코딩 타입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 Microsoft의 default encoding type : EUC-KR* Tomcat의 default endoding type : UTF-8따
doinitright.tistory.com
1. 레지스트리 접속
시작 > 프로그램 실행 > regedit
2. 하단의 디렉토리로 이동
경로 :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Command Processor
3. 새로 만들기 > 문자열 값
오른쪽 창 빈 칸에서 오른쪽 마우스 > 새로 만들기 > 문자열 값
값 이름은 Autorun, 값 데이터는 chcp 65001로 정의
4. CMD 실행 및 확인
최초 실행 시 Active code page: 65001
이 표출될 시 영구적으로 적용이 된 것임.
'DEV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러블슈팅] Yum install 시 HTTP Error 404 - Not Found 오류 시 해결 방법 (0) | 2025.03.21 |
---|---|
[트러블슈팅] (Windows, Oracle) 로컬 DB 외부 HOST IP 접속 허용 설정 (1) | 2024.06.19 |
[트러블슈팅] (Windows) Tomcat 콘솔/로그 한글 깨짐 시 해결 방법 (0)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