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도커 기반의 배포 작업을 진행하며 사용했던 NCP 후기를 작성해 본다.
접속 및 회원가입 / 로그인

NCP 최초 가입 시 프로모션 혜택으로 10만 크레디트를 제공하니 참고 바람!!
로그인 후 콘솔 화면으로 들어간다.
서버 생성 방법
서버 생성 간에는 간편하고 쉬운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VPC가 아닌 클래식으로 진행했다.
서버 이미지 선택

부팅 디스크 크기, 이미지 타입, OS 이미지 타입과 서버 타입 설정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설정으로 서버 생성을 진행했다.
서버 설정

스토리지, 서버 세대, 타입, 이름 및 서버 개수, 반납 보호 등을 지정하는 화면이다.
요금제는 월 요금제와 시간 요금제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요금제는 각각 일자별 / 시간별로 일할 계산된다.
반납 보호 설정을 통해 정지 후 실수로 서버가 반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인증키 / 네트워크 설정

향후 서버 설정 및 비밀번호 관리를 위해 필요한 인증키를 설정한다.
없으면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한다.
해당 인증키는 서버가 존재하고 있는 한 유실되면 안 되므로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후 네트워크 접근을 위한 acg를 설정한다.
ACG(Access Control Group)
서버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액세스 제어 그룹을 의미하며, 사용자나 장치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묶어 관리하는 용도로, 방화벽의 역할 또한 수행한다.
최종 확인

생성할 서버 설정을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확인 버튼을 누를 시 서버가 생성되며, 수십 분이 소요가 된다.


축하합니다! 서버가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NCP에서 제공하는 서버 관련 편의기능
NCP는 서버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서버 관리자 비밀번호 변경


콘솔 ->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에 들어가서 최초 서버 생성 후 비밀번호 조회가 가능하다.
서버 생성 시 설정했던 인증키를 첨부 후 비밀번호 확인 버튼을 눌러 조회하면 된다.
* 서버의 운영체제는 최초 생성 후 NCP 측에서 설치했기 때문에 확인 필요

아래와 같이 최초 비밀번호를 확인한 후 NCP에서 제공하는 서버 접속 콘솔로 접속해서 비밀번호를 변경하면 된다.

서버 접속 콘솔을 클릭해 콘솔로 접속한다.

$ root $ <관리자 비밀번호 최초 패스워드 입력> $ passwd root $ <관리자 비밀번호 변경 패스워드 입력> $ <관리자 비밀번호 변경 패스워드 재입력>
위의 명령어 순서대로 입력하게 되면 최초 관리자 비밀번호에 의한 서버 접속 및 이후 비밀번호 변경이 완료된다.
비밀번호는 설정 및 입력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것이 정상이다.
포트포워딩 설정
NCP는 간편하게 포트포워딩 설정을 할 수 있어 외부 접속으로부터 포트, IP를 숨길 수 있다.

NCP 서버 상태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을 클릭한다.

뚫을 포트를 설정한다. 본인은 학습 용도로 2210 포트를 뚫어놓았는 데 사용 용도에 맞춰 http, https, ssh, mysql 등
포트 규약에 맞춰 뚫으면 될 것이다.
[포트 포워딩에 의한 서버 접속 확인]

cmd 커널로 접속 후 아래와 같이 입력
ssh root@<공인IP> -p <포트포워딩 설정한 포트번호>

이전에 설정한 커스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서버 이름이 뜨면 성공!
Global DNS 설정
NCP는 Global DNS 설정을 통해 도메인 구매 후 추가를 통한 연결과 편리한 관리를 지원한다.

Global DNS로 접속해 구매한 도메인을 추가한다.
NCP는 도메인 구매는 지원하지 않으므로 구매는 별도로 진행한다.

추가가 완료되면 해당 도메인의 상태와, 도메인을 관리할 수 있게끔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등록기관 설정 정보에 들어가면, 해당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는 레코드 타입을 제공해 주는데,
해당 레코드를 구매 도메인 사이트에 들어가 네임서버에 등록하면 NCP의 Global 도메인 기능 탭에서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메인 구매 사이트의 도메인 관리에 들어가 NCP에서 제공한 두 개의 레코드 값을 다 입력해 주고 업데이트를 한다.
NCP 사용 후기
- Security Monitering, Global DNS, 다양한 Reference 아키텍처 등 서버 운용에 필요한 많은 기능을 제공
- 최초 가입 시 10만 원 크레디트 무료 제공으로 이용 가능
- 무엇보다 유저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한글 문서, 한국어 문의가 가능하다는 장점(매우 크다)
개인적으로 인프라 공부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었지만, NCP를 활용해서 서버 공부를 시작하게 되어 다행히도 쉽게 공부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상 후기 끝!
'DEV > 나의 개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 취업 특강 내용 정리 (2) | 2024.04.01 |
---|---|
2. 기억이 나지 않아 (0) | 2023.07.21 |
1. 무슨 개발을 하려고 하는 건가요(개발자 직무별 하는 일 정리) (0) | 2023.07.20 |